하수처리과정
진영맑은물순환센터로 유입된 하수는 첫 번째로 침사지를 거쳐 하수 중에 포함된 모래, 스컴 등의 부유물질을 분리․제거함으로써
펌프 등 기타 설비를 보호하게 됩니다. 침사지를 거친 유입하수는 주분배조를 통해 VIP공법과 HANT공법으로 각각 분배되어
생물학적 처리를 거쳐 방류하게 됩니다.
VIP 하수처리과정
하수처리 공정 흐름도입니다.
첫 단계는 하수 유입입니다. 하수는 우수토실 11개를 통해 들어오며, 일부는 연계처리(매립장 침출수)로 연결됩니다.
다음 단계는 침사지입니다. 침사지에서는 유입수 채수가 이루어집니다.
그다음은 최초 침전지로 이동합니다.
최초침전지에서 1차 처리된 하수는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로 구성된 생물반응조에서 수중의 유기물질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이용하여 제거됩니다.
무산소조에서 혐기조로 반송되는 ANOXIC 반송과 호기조에서 무산소조로 반송되는 내부반송을 실시합니다.
일부는 최종 침전지에서 무산소조로 반송되고, 처리수는 최종 침전지를 거쳐 방류하게 됩니다.
최종 침전지 단계에서 방류수 채수가 이루어집니다.
- 1. 침사지 (W2.6m × L4.5m × H1.3m × 2지 )
- 하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스컴 등의 부유물질을 분리 제거하여 후속공정의 펌프 등 설비 보호 기능
- 2. 일차침전지 (W9m × L22.5m × H3.4m × 2지 )
- 하수중에 혼입되어 있는 침전 가능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생슬러지를 저류조로 이송처리(체류시간 : 2~4시간)
- 3. 생물반응조 (W9m × L47.8m × H4.6m × 2지 )
- 혐기조, 무산소조, 포기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중의 유기물질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 (체류시간 : 8시간)
- 4. 이차침전지 (W9m × L27m × H3.5m × 2지 )
- 포기조에서 분해된 미생물을 중력 침강시켜 처리수와 슬러지로 고액분리하고 침전 슬러지 일부는 포기조로 반송되고, 잉여슬러지는
슬러지저류조로 이송처리(체류시간 3~5 시간)
- 5. 슬러지저류조
- 잉여, 생슬러지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의 농도를 높여 용적을 감소시키고 후속 처리공정의 부하를 경감시킴
- 6. 원심 탈수기(20~25㎡/hr × 3기 )
- 원심탈수기로 슬러지 탈수 후 재활용(연료 고형연료제품제조)
HANT 하수처리과정
원수저류조에서 원수이송펌프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탈기조를 거치며
처리됩니다. 내부반송펌프와 송풍기가 작동하고, 처리수는 흡입펌프로 처리수조로 이송됩니다.
역세펌프를 통해 역세수가 순환됩니다.
- 1. 미세목 스크린 설비(500㎛ × 4대)
- 유입수중의 머리카락, 섬유물질, 기타 고형물 등 협잡물을 제거하여 분리막 엄킴 및 막간 폐색에 의한 분리막 오염 저감
- 2. HANT 반응조
-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탈기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기물질, 질소, 인, 부유물질 등을 미생물 및 HANT 분리막을 이용하여 제거
총인처리시설
강화된 방류수수질기준(T-P : 0.3㎎/L)을 준수하고자 화학적․물리적 처리를 통해 생물반응조 처리수의 총인(T-P) 및 부유물질(SS) 등을
저감시키는 시설
진례맑은물순환센터 처리공정
- 유량조정조
유입하수 농도의 균질화 및 유량을 균등화하고 후속공정 이상발생시 하수를 저장시키는 기능
- BCS반응조(생물반응조)
회분식 처리공법(SBR공법) 계열이며, 단일 반응조에서 유입(공정), 포기, 침전, 배출 등의 공정이 1Cycle로 이루어져 수중의 유기물질과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
- 슬러지저류조
잉여슬러지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의 농도를 높여 용적을 감소시키고 후속 처리공정의 부하를 경감시킴
- 다중판형 농축탈수기
슬러지저류조 내 슬러지를 탈수하여 탄화처리 또는 지렁이사육농가로 자원화
- 총인처리시설
강화된 방류수수질기준(T-P : 0.3㎎/L)을 준수하고자 화학적․물리적 처리를 통해 생물반응조 처리수의 총인(T-P) 및 부유물질(SS) 등을
저감시키는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