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의 역할
관내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정화하여 샛강인 화포천에 되돌려 보냄으로 낙동강 수계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가축분뇨는 발생량에 비해 오염부하량이 크기 때문에 미처리시에는 하천의 부영양화등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안정적인 처리를
통하여 오염도를 크게 낮추고 있습니다.
연혁
- 2024. 03. 31. : 2차 증설(가축분뇨 : 280㎥/일, 음식물류폐기물 : 50㎥/일) 준공
- 2020. 10. : 기존시설(가축분뇨: 130㎥/일) 폐쇄
- 2014. 04. 30.∼ : 김해시도시개발공사 관리 운영
- 2013. 01. 28. : 1차 준공(가축분뇨 : 200㎥/일)
- 2003. 07. 01. : 김해시시설관리공단 관리 운영
- 2000. 8. ∼ 2003. 6. : 민간위탁관리(부강테크)
- 1993. 12. 02. : 준공(가축분뇨 : 130㎥/일)
시설현황
시설현황 테이블에는 준공일, 위치, 부지면적, 주요시설, 총사업비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준공일 |
2013. 01. 28. |
위치 |
(50852) 김해시 한림면 안하로 117 |
부지면적 |
25,168㎡ |
주요시설 |
- 시설용량: 530㎥/일 (1차: 200㎥/일, 2차 증설: 330㎥/일)
- 처리공법: 혐기성소화 + BCS/SBR공법 + 고도처리(AOF/BBF) + 활성탄
|
총사업비 |
790억(1차: 298억, 2차 증설: 492억) |
연락처
- 전화 : 055-343-7022
- 팩스 : 055-343-7024
가축분뇨 처리계통

- 1. 협잡물종합처리기
- - 형 식 : 다단 협잡물 처리기, 연속자동운전방식
- - 용 량 : 100㎥/hr × 4대
- - 기 능 : 가축분뇨 1차 협잡물 제거

- 2. 고액분리기
- - 형 식 : 원심분리기(약주형)
- - 용 량 : 30㎥/hr × 2대
- - 기 능 : 원심분리를 통한 가축분뇨 고형물(SS) 제거로
후단 처리공정 부하 감소

- 3. BCS 생물반응조
- - 형 식 : BCS/SBR공법(1차: HRT=12.6일, 2차 증설: HRT=16일)
- - 용 량 : W33.0m × L14.0m × H5.8m × 2지(1차)
W38.0m × L18.0m × H6.5m × 2지(2차 증설)
- - 기 능 :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공법으로
유기물, 질소 및 인 제거

- 4. AOF시설
- - 형 식 : 고도산화부상분리(오존처리)
- - 용 량 : W3.0m × L4.0m × H2.0m(1차),
W1.5m × L3.2m × H2.2m(2차 증설)
- - 기 능 : 오존을 이용한 산화 분해를 통한 난분해성 물질 제거 및
응집 부상을 통한 부유슬러지 제거

- 5. BBF시설
- - 형 식 : 상향류식 생물여과
- - 용 량 : Φ2.6m × H8.0m × 4지(1차),
Φ1.8m × H8.0m × 4지(2차 증설)
- - 기 능 : 처리수 내 잔존하는 유기물 및 SS 성분을 하부고정 여재 및
부유여재를 통해 여과처리

- 6. 인 제거설비
- - 형 식 : 자흡식 부상분리농축방식(CAF)
- - 용 량 : W1.2m × L4.2m × H1.2m
- - 기 능 : 처리수 내 잔존하는 인(T-P) 성분을
화학적 응집 처리

- 7. 활성탄 여과기
- - 형 식 : 압력탱크 하향류식
- - 용 량 : Φ2.1m × H4.0m(1차), Φ1.5m × H4.0m(2차 증설)
- - 기 능 : 최종 방류 전 잔존하는 미량의 유기물, SS 및 색도를
활성탄 여재를 이용한 흡착 제거

- 8. 원심탈수기
- - 형 식 : 원심분리기(약주형)
- - 용 량 : 30㎥/hr × 2대
- - 기 능 : 생물반응조 내의 미생물의 적정 개체 유지를 위한
잉여슬러지 인발 및 탈수 처리
병합(음식물류폐기물 + 가축분뇨) 처리계통

- 1. 음식물 전처리설비
- - 설 비 : 파쇄선별기, 펄퍼교반조, 미세파쇄기
- - 용 량 : 4㎥/hr × 2대
- - 기 능 : 음식물류폐기물 내 이물질 파쇄 및 선별

- 2. 혐기성 소화조
- - 규 격 : 원형탱크, Φ15.0m × H17.5m
- - 용 량 : 3,090㎥ × 3지(HRT=35.8일)
- - 기 능 :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 제거 및 바이오가스 생성

- 3. 바이오가스 저장조
- - 형 식 : 더블 맴브레인 타입
- - 용 량 : 1,650㎥
- - 기 능 :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저장

- 4. 바이오가스 정제시설
- - 설 비 : 건식 탈황장치, 냉각식 제습기
- - 용 량 : Φ3.0m × H5.324m× 2대(탈황장치),
Φ0.45m × H4.21m× 2대(제습기)
- - 기 능 : 바이오가스 내 황화수소 및 수분 제거

- 5. 가스발전기
- - 형 식 : 소화가스 열병합 발전기
- - 용 량 : 350kW × 2대, 135kW × 1대
- - 기 능 :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전력 생산 및 폐열을 활용한 소화조 가온

- 6. 잉여가스 연소기
- - 형 식 : 내부연소식, 자연통풍형
- - 용 량 : 830N㎥/hr
- - 기 능 : 가스발전기 미가동 시 발생하는 잉여 바이오가스 연소

- 7. 가온용 보일러
- - 형 식 : 노통연관식 온수보일러
- - 용 량 : 250,000kcal/hr
- - 기 능 : 바이오가스, 경유 겸용 보일러로 동절기 가스발전기
미가동 시 혐기성 소화조 가온용

- 8. 소화슬러지 탈수기
- - 형 식 : 원심분리기(약주형)
- - 용 량 : 30㎥/hr × 2대
- - 기 능 : 혐기성 소화조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탈수 고형물(SS)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