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개별 농가에서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반입하여 가장 먼저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통과하면서 수거된 가축분뇨 중 협잡물과 제사물이 제거되면서 전처리됩니다. 협잡물과 제사물이 제거된 폐수는 저류조로 이송되어 고액분리기로 유입되어 1차처리가 된 후 고분자응집제와 혼합되어 응집되고 고속회전을 통하여 폐수내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면서 고액분리기 유출수는 유량조정조로 이송되어 BCS반응조로 유입됩니다. BCS반응조로 유입된 폐수는 일련의 반응과정(유입/교반, 폭기, 침전, 슬러지배출, 상등수배출)을 거쳐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2차처리된 반응조 상등수는 고도처리시설인 AOF(고도산화부상분리시설), BBF(생물여과설비), 인제거설비, 활성탄 여과시설을 거치면서 정화되어 화포천으로 방류됩니다. 가축분뇨폐수 처리시 협잡물 종합처리기에서 발생된 협잡물과 제사물, 고액분리기에서 전처리시 발생된 탈수케익, 원심탈수기에서 발생된 잉여슬러지 탈수케익은 저장호퍼로 이송되어 관내 퇴비업체 및 지렁이농장에 위탁처리됩니다.
음식물류 폐기물은 수거된 후 투입시설을 통해 처리 공정으로 이동됩니다. 이후 음식물 전처리설비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가축분뇨와 혼합하여 처리 효율을 높입니다. 다음 단계인 혐기성 소화조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고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여기서 발생한 바이오가스는 바이오가스 저장조에 보관되며, 이후 바이오가스 정제시설을 거쳐 정제됩니다. 정제된 바이오가스는 가스발전기로 공급되어 전력을 생산하거나, 잉여가스의 경우 연소기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됩니다. 또한, 일부 바이오가스는 가온용 보일러로 보내져 시설 내 가온용 열원으로 활용됩니다. 한편,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슬러지는 소화슬러지 탈수기로 이동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처리됩니다. 이후 BCS 생물반응조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 유기물과 질소 및 인을 제거합니다. 추가적으로 AOF 고도산화부상분리시설에서는 오존을 이용한 산화 분해 과정을 통해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하고 부유슬러지를 처리합니다. 이후 BBF 생물여과시설에서는 처리수 내 잔존하는 유기물과 SS(부유물질)를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합니다다. 마지막으로 활성탄 여과시설을 통해 최종 방류 전에 남아 있는 미량의 유기물과 SS, 색도를 활성탄 여재를 이용해 흡착 제거합니다. 이렇게 정화된 물은 방류시설을 통해 자연으로 돌아가며,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처리시설